H Coaching in Tstory
"반드시 알아야 하는 논문인용방법"
대학원생이라면, 반드시 한번쯤은 하는 생각이다.
"논문 인용은 어떻게 하는 거지?" "어떤 규칙이나 자세한 방법이 있나?"
오늘은 이러한 궁금증을 풀어내기 위해, 올바른 논문 인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다양한 논문 인용 방법
다양한 논문 인용 방법이 있다. 오늘은 그 중 3가지에 대해 언급해보고자 한다. 제대로 된 논문 인용을 위해서 여러 종류의 인용을 활용하고, 인용문 형식을 갖추어야하며, 다양한 스타일로 인용해야한다. 각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아래 글은 위키하우의 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여러 종류의 인용 활용하기
1. 문장을 일부만 잘라서 인용하는 법을 알아 두자.
- 완전한 문장 사이에 단어를 끼어넣기
- 출처를 밝혀서 일부만 가져 온 인용이라는 것을 보여주기
2. 전체 문장을 인용하는 법을 알아 둔다.
- 4줄 이하의 인용을 전체 문장 인용이라 한다.
- 빠진 것이 없는 갖춘 문장이어야 한다.
- 추가적인 문장이나 인용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문장을 사용한다.
3. 덩어리로 인용하는 법을 알아두자.
- 4줄 이상의 인용을 할 때에 사용한다.
- 논문 하나 당 1~2개
- 인용문 앞 뒤에는 빈 줄을 삽입하며, 인용문의 좌우로 여백을 크게 둔다.
- 덩어리로 인용하는 경우, 따옴표를 쓰지 않는다.
4. 간접 인용을 알아두자.
- 문장을 50%이상 바꾸어야 한다.
- 인용 내용을 완전히 이해했을 때에 사용한다.
- 동의어를 사용한다.
- 문장의 어순 또는 구조를 변경한다.
인용문 형식 갖추기
1. 쉼표와 마침표를 찍는 법을 알아 두자.
- 괄호로 인용할 때에는 쉼표나 마침표가 따옴표 밖에 위치하게 된다.
2. 느낌표와 물음표를 찍는 법을 알아두자.
- 인용 문구에 있다면 따옴표 안에 넣는다.
- 인용문구에 대해 강조하거나 질문한다면 따옴표 바깥에 넣는다.
3. 말줄임표를 제대로 사용하자.
- 인용문에서 빠진 부분이 있음을 보여준다.
- 중간에 필요 없는 부분을 삭제할 때 사용한다.
- 인용문 앞이나 뒤에 한번만 사용한다.
4. 대괄호를 제대로 사용하자.
- 인용문에 원래 있지 않았던 정보를 추가할 때 사용한다.
5. 콜론과 세미콜론을 정확히 사용하자.
6. 인용문을 정확하게 옮겨쓰자.
- 단어와 문법적 오류까지도 그대로 옮겨야 한다.
- 문제가 있다며느 [sic]을 바로 뒤에 붙여준다.
다양한 스타일로 인용하기
1. MLA 형식으로 인용한다.
- 글 안에 저자의 이름과 출처의 페이지번호를 같이 적는다.
2. APA 형식으로 인용한다.
- 글 내부에 저자의 이름과 그 글이 출판된 연도를 적는다.
3. 시카고 스타일로 인용한다.
- 각주에 인용문을 추가한다.
4. 인용할 때마다 각주의 번호를 문장 부호 끝에 붙여 주어야 한다.
이상 논문을 작성하기 위해서 반드시 알아야 하는 논문인용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결국, 제대로 된 논문인용을 위해서는 직접 논문을 읽으며 저자들이 어떻게 논문을 인용하는 지를 체득할 수 밖에 없다.
"논문을 쓰기 위해서는 논문을 읽어야 한다."는 언제나 변하지 않는 법칙이다.
H Coaching in Tstory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문으로서의 코칭학에 대하여. (0) | 2022.02.20 |
---|---|
[책홍보] 쉽고 빠른 대학생 과외 고민 해결법 (0) | 2022.02.11 |
공인인증된 전문적인 MBTI 검사지 비용은? (0) | 2022.02.09 |
U+고객센터 어플을 이용한 중고폰 가격보장 프로그램 해지 방법 (0) | 2022.02.08 |
MBTI 검사가 뭐길래? (feat. MBTI 자격증 취득 방법) (0) | 2022.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