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 Coaching in Tstory
"학문으로서의 코칭학"
코칭학개론에 대해서 공부하면서 얻게 되는 소중한 지식을 전달하고자 각 챕터의 학습하는 내용들을 티스토리를 통해 함께 공유하고자 한다. 오늘 함께 배울 부분은 학문으로서의 코칭학에 대한 것이다. '코칭'이라는 학문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해내기 위해, 학문이란 무엇인지, 또한 코칭이 앞으로도 학문으로서 존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어떠한 노력들을 해나가야 하는 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학문이란 무엇인가
"학문 : 어떤 분야를 체계적으로 배워서 익힌다는 것"
코칭학이란 무엇인가
코칭학이란 코칭을 체계적으로 배워서 익히는 것다.
"어떤 학문인가를 정의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은 그 학문이 다루는 주제와 연구방법론이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즉, 코칭이 학문인가에 대해 논하기 위해서는 코칭학이 다루는 주제와 그 연구방법론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맞닥뜨릴 수 밖에 없다. 코칭이 본격적으로 연구된 지가 얼마되지 않아 이러한 질문들에 대해 답변하기에 어려운 부분이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는 단연, 코칭에서만 발생하는 일이 아니라, 인지과학 등 여러 학문분야에서도 두루 불생하는 일이기도 하다.
코칭 주제
코칭은 라이프코칭, 비즈니스코칭, 커리어코칭 등으로 그 분야가 세분되어 있다. 또한, 적용대상도 남녀노소를 막론하며, 그 관계도 매우 다양하다. 이에 더불어 관련된 학문분야도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사실상 코칭은 거의 모든 삶의 영역에 적용되며, 모든 상황에서 코칭이 가능하다.
실제로 코칭이 다양한 분야와 합성되어 다양한 형태의 코칭영역이 등장 및 확산하고 있다. 즉, 코칭학이 다루는 주제는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코칭 연구방법론
코칭에는 뚜렷이 정해진 연구방법론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양적연구와 질적 연구 모두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실제로, 최근의 교수-학습 코칭연구 동향에 대한 논문에서, 양적연구를 통해 행해진 연구와 질적연구를 통해 행해진 연구의 수가 정확히 동일하다는 결과가 나온바 있다. 즉,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둘다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다만, 그 외의 연구방법론은 잘 쓰이지 않고 있다."
예전에는, 질적연구방법과 양적 연구방법이 함께 병행될 수 없다고 보았으나, 최근에는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즉, 뚜렷한 연구방법론이 정해지지 않은 것이 코칭이 학문이 아니라는 근거가 될 수 없다.
학문으로서의 코칭학을 위한 선행과제
"코칭이 학문으로서 존재하기 위해 우리는 어떠한 과제들을 수행해나가야 하는가?"
첫째, 학문이라고 불릴 수 있는 연구대상이 존재해야한다.
둘째, 그 연구대상을 특정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는 고유의 연구방법이 있어야 한다.
셋째, 그 특정 현상을 특정한 시각으로 인식하고, 기술하며, 관계들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이 존재해야 한다.
코칭에 대한 정보들을 손쉽게 받아 학습하고 싶다면, 블로그 구독바랍니다.
오늘의 명언
재능은 고독 속에서 가장 크게 발전시킬 수 있지만, 인격은 세상의 험난한 풍파 속에서 가장 잘 형성된다.
Talents are best nurtured in solitude; but character is best formed in the stormy billows of the world.
Johann Wolfgang von Goethe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인용은 어떻게 해야할까? (0) | 2022.02.12 |
---|---|
[책홍보] 쉽고 빠른 대학생 과외 고민 해결법 (0) | 2022.02.11 |
공인인증된 전문적인 MBTI 검사지 비용은? (0) | 2022.02.09 |
U+고객센터 어플을 이용한 중고폰 가격보장 프로그램 해지 방법 (0) | 2022.02.08 |
MBTI 검사가 뭐길래? (feat. MBTI 자격증 취득 방법) (0) | 2022.02.06 |